플라톤의 "크라틸루스": 언어와 의미의 탐구
크라틸루스는 소크라테스, 헤르모제네스, 크라틸루스가 언어의 본질과 그것의 진실과 현실과의 관계를 탐구하는 대화이다. 대화가 답하려고 하는 주된 질문은 이름(단어)이 관습적인지 자연적인지, 그리고 그것들이 사물의 진정한 본질을 표현할 수 있는지이다.
대화의 첫머리에서 헤르모제네스는 이름의 정확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사물의 이름이 단순히 관습적인지 또는 사물이 나타내는 것과 어떤 자연적인 연관성이 있는지 묻는다. 크라틸루스는 이름이 사물과 자연적인 연관성이 있다는 입장을 취하는 반면, 헤르모제네스는 이름이 관습적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소크라테스는 토론에서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고 두 당 사이를 중재하려고 노력한다. 그는 이름이 사물에 대한 어떤 자연적인 연관성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자연스럽고 전통적인 것이지만, 그것들을 사용하는 공동체의 동의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고 제안한다.
대화는 또한 언어가 의사소통의 도구이며 언어의 목적이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라는 생각을 탐구한다. 소크라테스는 이름이 사물의 본질을 정확하게 나타내지 못하면 의사소통이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크라틸루스가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중요한 교훈 중 하나는 언어가 고정되고 변하지 않는 존재가 아니라 유동적이고 진화하는 존재라는 것이다. 이것은 단어의 의미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우리가 단어를 사용하는 방식이 바뀌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크라틸루스가 후대에 끼친 영향은 상당하다. 특히 언어학 분야에서 철학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것은 또한 많은 사상가들에게 언어의 본질과 현실과의 관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언어가 우리의 세계에 대한 이해를 형성하는 방법을 탐구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21세기에 크라틸루스는 언어에 대한 우리의 가정과 진실과 현실과의 관계를 재고하는 데 도전하는 관련성 있고 생각을 불러일으키는 작품으로 남아있다. 그것은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들을 염두에 두고 우리가 그것들에 붙이는 의미에 의문을 제기하도록 격려한다.
크라틸루스에 제시된 아이디어를 더 탐구하는 데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위해, 리처드 크라우트가 편집한 "플라톤에 대한 케임브리지의 동반자"와 제임스 F.F.의 "언어와 세계: 언어적 이상주의의 방어"를 추천한다. 로스.
Korean version title: "크라틸로스" by 플라톤: 언어와 의미의 탐구
"The Cratylus" by Plato: An Exploration of Language and Meaning
"The Cratylus" is a dialogue between Socrates, Hermogenes, and Cratylus that delves into the nature of language and its relationship to truth and reality. The main question that the dialogue tries to answer is whether names (words) are conventional or natural, and if they are capable of expressing the true essence of things.
At the beginning of the dialogue, Hermogenes expresses his doubt about the correctness of names and asks whether the names of things are simply conventional or whether they have some natural connection to the things they denote. Cratylus takes the position that names have a natural connection to things, while Hermogenes argues that names are merely conventional.
Socrates takes a neutral position in the debate and tries to mediate between the two parties. He suggests that names are both natural and conventional, in that they are based on some natural connection to things, but they are also subject to the agreement of the community that uses them.
The dialogue also explores the idea that language is a tool for communication and that the purpose of language is to convey meaning. Socrates argues that if names do not accurately represent the true nature of things, then communication becomes difficult or impossible.
One of the key lessons that "The Cratylus" teaches us is that language is not a fixed and unchanging entity, but rather a fluid and evolving one. This means that the meanings of words are not fixed, but are subject to change over time as the way in which we use them changes.
The impact of "The Cratylus" on future generations has been significant. It ha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philosophy, particularly in the area of linguistics. It has also inspired many thinkers to question the nature of language and its relationship to reality, and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language shapes our understanding of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The Cratylus" remains a relevant and thought-provoking work that challenges us to reconsider our assumptions about language and its relationship to truth and reality. It encourages us to be mindful of the words we use and to question the meanings that we attach to them.
For those interested in exploring the ideas presented in "The Cratylus" further, some recommended reference books include "The Cambridge Companion to Plato" edited by Richard Kraut and "Language and World: A Defense of Linguistic Idealism" by James F. Ross.
Korean version title: "크라틸로스" by 플라톤: 언어와 의미의 탐구
'정치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47. 이온 "The Ion" by Plato (0) | 2023.02.17 |
---|---|
46. 테아이테토스 "The Theaetetus" by Plato (0) | 2023.02.17 |
44. 파르메니데스 "The Parmenides" by Plato (0) | 2023.02.17 |
43. 필레부스 "The Philebus" by Plato (0) | 2023.02.17 |
42. 정치가 "The Statesman" by Plato (0) | 2023.02.16 |